블로그 이미지
David Joo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20)
Business Strategy (6)
Business Idea, Insig.. (3)
Review (5)
IT Trend (5)
One Day Question (0)
One Day Meditation (0)
Total
Today
Yesterday

'삼국지 해제'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8.04 실제 삼국지 역사는 ?
삼국지로 Social Network Game을 만들면 어떨까 생각해 보다가, 삼국지의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 능력을 비롯하여, 실제 삼국지의 역사가 어땠을까 궁금해졌다.  

이때 접하게된 책이 '삼국지 해제'라는 책이다. 
70%의 진실과 30%의 허구로 만들어진 삼국지의 실제 이야기가 무엇인지, 역사 및 문화, 사상적 배경과 함께 각 인물들의 요약된 설명을 기술한 책이다.  
꽤 두꺼운 책이지만, 삼국지를 얘기하기 위해 도입한 사상적 배경, 그리스 및 로마, 서양문화 얘기 등을 뛰어 넘어 읽으면 쉽게 읽을 수 있다. 

삼국지가 한국, 일본을 넘어 동서양의 대표적 동양 고대사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를 통해 난세를 살아가는 지혜를 얻는 책이만, 그 안에 청류와 탁류, 이분법으로 사람을 바라보는 시각이나, 중국 한족 중심의 중화사상 등 독자들이 filtering해야 할 부분을 잘 지적하고 있다.

새롭게 와 닿는 사실이 몇가지 있다. 
동탁이 그렇게 나쁜 사람이 아니었을지도 모르며, 지극한 효자였고, 죽기전 그의 죽음을 암시하는 사건 등을 볼 때 사람들의 신망을 얻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그러나 이렇게 삼국지에서 가장 나쁜 사람 중 하나로 표현되는 것이 변방 서량출신으로 청류가 아닌 탁류의 대표주자이기에 가차없이 폄하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그렇게 매도된 대표적 인물이 여포다.
여포는 정통 한족이 아닌 흉노족 출신으로 천하무적 기병대를 이끌고 탁월한 카리스마를 소유한 인물이다.
삼국지에서는 초선이라는 허구의 인물을 등장시키며, 여포를 호색한으로 몰고 있지만, 실제 역사에서는 유비를 향한 애정을 갖고 동생처럼 그를 대했을 뿐 아니라, 한족 사람들과 다르게 여인들의 권리를 옹호하고, 가정적인 인물이었을 것이라는 평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포를 철저히 이용하고 배반한 유비는 한점의 과오도 없는 대인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가후.... 동탁에 이어 조조, 조비에 이르기 까지 삼국지의 모든 전쟁에 관여했던 삼국지 제일의 군사와 책략가 였으나, 동탁과 같이 변방출신으로, 삼국지는 그의 공을 순욱에게 돌리고 있다.

또 재밌는 부분은 조비에 이은 위나라 2대황제 조예의 탄생 비화.
중원을 차지하기 위한 관도전투에서 조조가 승리하고, 신망을 받던 원소가 죽은 후, 그 아들 원희가 공손강에게 피신했으나, 공손강의 배신으로 죽음을 맞게되고 이때 원희의 처였던 견희를 조비가 부인으로 삼았다는 것이다.
조비가 견희를 부인을 삼을때 조예가 태어났었을 가망성이 높고, 따라서 조예는 원희의 아들, 원소의 손자였을 가망성이 높다. 세력을 얻기위해 원소를 추출해야 했지만, 조조와 원소의 사이는 나쁘지 않았다. 그래서 조비는 조예를 싫어했지만, 조조는 손자를 사랑하고 아꼈다고 한다.

조조가 위나라를 만들었지만, 삼국통일은 그의 충신 사마위의 손자 사마염, 진나라에 의해서였다.
사마위는 충신이었지만, 조조 일가의 견제로 역심을 품을 수 있는 상황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심의 기반에는 정의, 명분, 사람됨됨이 보다 능력 제일 위주의 인사정책, 과거의 질서를 무시한 조조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유비의 촉나라는 비록 위나라에 패하기는 하였으나, 유비의 아들들이 황제로 있을 당시에는 정치가 안정되었고, 반역을 도모하는 일이 없었다.
능력도 중요하지만, 과거의 질서와 체계를 무시하여 앞서나감은 오히려 화가됨을 볼수 있는 내용이다.
관우의 전사, 장비의 죽음, 관우의 복수를 위해 무리하게 출전한 이릉전투에서 패해 병사한 유비...
2~3년의 짧은 시간동안 차례차례 죽음을 맞이 할 수 밖에 없었던 이들의 의리가 별의미 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촉나라 신하들의 충성심과 사회 안정의 가반이 되었엄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30%의 허구와 진실을 파헤쳐보는 여정이 신선하고, 새로운 배움을 얻게했다.
사족이라면, 구체적인 내용은 장정일 소설가(삼국지 해제 저자중 한명)의 삼국지를 보라는 셜명들이 눈에 걸리지만....

향후, 삼국지의 내용으로 Social Network Game을 만든다면, 실제 역사를 반영하여 인물의 능력을 조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잠깐 찾아보니 모바일 삼국지 게임이 많다. Koei 삼국지3, 삼국지천하제패 등.... 역시 삼국지는 인기가 많다.
그러나 SNG는 또다른 재미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만들어 진다면...
Posted by David Joon
, |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