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Commerce, 소셜커머스란?
국내에서도 SNS와 공동구매를 접목한 사이트가 우후죽숙 처럼 생겨나고,
매출성장률도 기존 온라인 쇼핑몰보다도 큰 폭으로 차이가 나는 것 같다.
티켓몬스터, 위메프, 메타사이트 쿠팡, 티켓모아 등이 국내에서 잘나고 있다.
미쿡에서는 SNS를 리딩하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검색의 최강자 구글을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의 ecosystem이 형성되어 상거래의 변화가 가속화 되고 있는데, 이참에 소셜커머스를 정리해 봐야 겠다.
기존의 생산자와 구매자의 힘의 균형(수요와 생산 균형에 따른 가격 결정)이 존재하지만, SNS를 통하여 공유하게된 정보가 이러한 균형을 다이나믹하게 만들고, Barrier를 낮추며, 소비자의 역할이 확대되어 결국 소비자가 주도하는 게임으로 쉽고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소셜 커머스의 진화와 기업에 대한 시사점, 2010.11. 현대경제연구소]
소셜커머스란?
*기존 전자상거래 + 소셜 미디어 = 관계기반 전자상거래
- 기존 전자 상거래와 비슷 (중간판매자 커미션 or 직판)하나, 소비자가 SNS통한 상품 가치나 가격정보 미리 볼 수 있음 *판매자와 소비자 사이 지속 대화 → 소비자가 판매자 일부 역할 대신 함
소셜 커머스 형태
*전자 상거래 사이트와 SNS연결(대부분), SNS내 전자상거래, 온라인 공동구매, 온오프라인 연동 형태
(오프라인매장과 SNS연결)
*현재 한국 소셜 커머스는 온라인 공동구매 형태로 한정됨
- 해당 물건의 구매자 모으기 위해 상품 정보를 다른 소비자에게 전달
- SNS가 유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집단을 이루므로, 비슷한 수요를 가진 다른 구매자를 빠르게 모음
변화의 의미?
*중요한 변화 → 정보 교환양 증가하며, 상품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이동 하는 과정
- 소비자 가치를 높게 하기 위하여 원가 및 비용을 낮추거나, 고객이 납득할만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함
향후 변화의 방향?
*실시간 구매 및 정보 교환의 환경 속에서 소비자 크라우드 소싱, 판매자 소셜 CRM 축으로 진행
- 소비자 클라우드 소싱 : 생산 과정 중 일부를 개방하여 대중이 참여하고 수익을 공유
- 판매자 소셜 CRM : 기업이 소비자 사이에서 소통하며 펼치는 관계 마케팅 활동 (ex, 기업 트위터)
- 이 두 부류를 쇼핑 전문 프로그램, 모바일 기기 등이 연계 함
사례
*2007년 시작한 리빙소셜, 2008년 시작한 그루폰 - 공동구매형 소셜 커머스
- 소비자가 위치한 지역을 중심으로 공동구매 상품을 제공
- 지역 소비자간 정보교환 증가, 신뢰도 제고, 온라인 소통 공간 역할
*나이키는 자체 SNS 만들어 소비자가 달린 경험 공유
*델은 트위터를 통해 고객 모집, 제품 문의 받음
*디젤은 오프라인 매장에 캠코더 설치하여 소비자가 옷 입은 사진을 SNS에 업로드 하고 공유하는 서비스 실시
시사점
1. 기업 정보가 대중에게 확산되는 현상은 막을 수 없으므로 기업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 필요
2. 정보의 양적팽창이 질적 제고와 비례하지 않음 → 정보수집은 물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제고 필요
3. 최종 소비자의 비용 부담 줄일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개발 시급
4. 한 기업이 가치사슬 전체를 통제하고 소비자 위해 스스로 모든 것 제공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야 함
5. 상품, 기업에 대한 단순 추천이 아닌 진심어린 칭찬과 조언을 주는 충성고객 확보 중요
[소셜커머스랩의 소셜커머스 전략 프로세스]
1. 소셜커머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라 : 패러다임, 비즈니스모델, 플랫폼의 종류
2. 소셜커머스를 하는 목표를 분명히 하라.
3. 핵심 성공 요인을 규명하라.
4 플랫폼 믹스를 하고, 플랫폼 별 전술을 수립하라
5. 고객 참여를 설계하라.
6. 보상을 설계하라.
7. 영향력 있는 소수자와 커뮤니티를 형성하라.
8. 보조 마케팅 수단 및 홍보 채널을 검토하라.
9. 인력, 투자, 개발 계획을 세워라.
10. ROI 측정 설계를 하라.
11. 실행하라.
12. 점검, 피드백, 전략의 수정을 반복하라.